에스티마의 인터넷이야기 EstimaStory.com

Thoughts on Internet

에릭슈미트의 혁신 이야기

with 51 comments

오늘자 워싱턴포스트에 Google CEO 에릭 슈미트가 “Erasing our innovation deficit”(혁신결핍증 없애기)라는 제목의 컬럼을 썼다.

내가 이 인터넷업계에서 가장 존경하는 CEO가 있다면 주저않고 에릭슈미트라고 할 수 있다.

스티브 잡스는 카리스마와 천재성이 넘치지만 그만큼 괴팍하기도 한 도저히 따라갈 수 없는 어떤 면에서는 신 같은 존재로 느껴지기도 한다. 실리콘밸리에서는 그를 존경한다기보다는 두려워하는, 경외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에릭슈미트는 이웃집 아저씨 같은 친근한 이미지가 느껴지면서도 대단한 지식, 실력, 인품 등을 다 갖춘 최고의 CEO다. 현자다. 유튜브에 가면 그의 강연 동영상이 엄청나게 많이 나와있는데 들어보면 단순히 인터넷을 넘어서 구글의 프로덕트하나하나의 디테일부터 우리 사회에 대한 구석구석에 대한 그의 지식과 통찰력에 대해 찬탄을 금할 수가 없다. 도대체 모르는게 없다. 저렇게 바쁜 사람이 얼마나 열심히 평소에 공부하면 저렇게 잘 알까.

예전에 구글에 있는 후배와 이야기할 기회가 있었는데 구글직원들 모두가 에릭슈미트에 대해서는 진심으로 감복하며 존경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프로덕트매니저라면 에릭슈미트에게 직접 보고할 기회가 주어진다고 한다. 그때 직접 이야기를 해보면 그의 해박한 지식과 통찰력에 모두 감복한다는 것이다.

구글창업자 세르게이 브린과 래리페이지의 원대한 비전과 커다란 그릇이 구글을 만들었다. 하지만 에릭슈미트라는 걸출한 CEO를 파트너로 얻지 못했다면 결코 오늘의 구글이 있지 못했을 것이다.

에릭슈미트는 항상 혁신에 대해 이야기한다. 미국이 불황을 극복하고 다시 성장하기 위해서는 ‘혁신’밖에 없다는 것이다. 오늘 워싱턴포스트의 칼럼도 어떻게 하면 ‘혁신결핍증’을 미국이 극복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우리가 보기엔 대한민국보다는 휠씬 미국이 혁신이 많은 것 같은데 이렇게 말한다)

어쨌든 이 칼럼을 읽어보고 그의 혁신에 대한 생각과 혁신을 이루기 위한 방법을 간단히 소개해보고 싶었다. 다음은 컬럼에서 일부 인상적인 부분 발췌.

그가 생각하는 혁신은 이렇다.

More than ever, innovation is disruptive and messy. It can’t be controlled or predicted. The only way to ensure it can flourish is to create the best possible environment — and then get out of the way. It’s a question of learning to live with a mess.

요즘 세상에는 갈수록 혁신은 파괴적이며 엉망진창이다. 혁신은 통제할 수 없으며 예측할 수도 없다. 혁신이 마음껏 일어나도록 할 수 있는 방법은 최적화된 환경을 만들어주고 절대 간섭하지 않는 것이다. 이것은 난장판속에서 살아가는 것을 배우는 것에 대한 질문이다.

즉, 정부가 혁신을 만들겠다고 억지로 예산을 투입해봐야 소용없다. 혁신이 일어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떻게 해야 할까? 그는 5가지를 이야기한다.

First, start-ups and smaller businesses must be able to compete on equal terms with their larger rivals.

첫번째로 스타트업과 작은 회사들은 더 큰 규모의 라이벌회사들과 동일한 조건에서 경쟁할 수 있어야 한다. 혜택을 주라는 것이 아니다 그저 공평하게만, 기존 강자들이 텃새를 부리지 않도록 경기장을 고르게 만들어주면 된다.

Second, encouraging risk-taking means tolerating failure — provided we learn from it.

두번째, Risk-taking이라는 것은 실패를 감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어떤 분야에서 리더가 되려면 그만큼 투자를 날릴 수 있다는 것도 명심하자. 성공률이 100%인 프로젝트가 있다고? 거기에는 혁신이 0%일 것이다. (Show me a program with a 100 percent success rate, and I’ll show you one with 0 percent innovation.)

Third, we need to invest more in our knowledge base.

세번째, 지식기반에 더 투자해야한다. 지식을 쌓도록 R&D에 세금혜택을 주자.

Fourth, information must become even more open and accessible.

네번째, 정보는 앞으로 더 개방되어야 하며 모든이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되어야 한다. 특히 정부지원 연구자료는 모두 공개해 ‘아이디어의 위키피디아’로서 창업자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Finally, we need to hang on to talented people.

마지막으로 인재를 붙잡아야 한다. 미국에 공부하러온 전세계의 인재들을 졸업하고 남아있도록 해야한다.

나는 위에서 특히 첫번째와 두번째 이야기가 개인적으로 인상적이었다. 큰 회사가 작은 회사를 평등하게 파트너로서 대하는 것. 어떻게 보면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지만 갑-을-병-정으로 대표되는 한국의 대기업과 중소기업문화에서는 참 보기 어려운 일이다. 작은 벤처기업이 혁신적인 제품이나 기술을 가지고 골리앗과 같은 대기업을 무너뜨리는 스토리는 미국에서는 자주 볼 수 있지만 한국에서는 극히 어려운 이야기다. 공정한 경쟁이 안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실패의 위험이 없는 혁신은 없다. 이것도 너무나 당연한 사실인데 또 너무나 쉽게 간과되고는 한다. 작은 실패를 통해서 진짜 성공, 혁신을 이뤄내는 법인데 모두들 항상 돌다리만 두드려보고 가려고 한다. 심지어는 돌다리를 두드리다 부숴버리기까지 한다.  어느 정도 위치에 오르면 모험보다는 수성에만 집중한다.

생각해보면 이미 구글안에 저런 환경이 만들어져 있는 것이 아닐까? 평등하지만 혼란(Chaos)스러운 조직. 20%타임을 통해서 자유롭게 제안되는 새로운 아이디어. 그 아이디어를 가지고 평등하게 경쟁하는 사내 그룹들. 내부적으로 개방된 모든 정보, 지식데이터베이스. 그리고 전세계에서 모인 천재적인 두뇌들….

위 5가지 혁신촉진의 방법은 대한민국에도 똑같이 적용될 수 있을 것 같다.

Written by estima7

2010년 2월 10일 , 시간: 9:17 pm

51개의 답글

Subscribe to comments with RSS.

  1. 유익한 글 소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스타트업과 작은 회사들은 더 큰 규모의 라이벌회사들과 동일한 조건에서 경쟁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문구가 오래 기억될 것 같네요.

    몽양부활

    2010년 2월 10일 at 10:02 pm

    • 그 부분이 제가 미국에서 가장 부럽게 느끼는 점입니다. 공정경쟁이 가능한 풍토가 확립되어 있다고 할까요? 감사합니다.

      estima7

      2010년 2월 11일 at 11:38 am

  2. 좋은 글 감명깊게 읽고 갑니다. 최근 NHN 이해진 CSO의 혁신에 대한 글과 맥을 닿는 부분도 있고, 다른 메세지를 주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독서락

    2010년 2월 10일 at 10:47 pm

    • 리더마다 다 자신의 생각과 스타일이 있는 법이죠. 이해진CSO님도 참 존경하는 분인데 좀더 적극적으로 외부에 나서셔서 말씀을 많이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ㅎㅎ

      estima7

      2010년 2월 11일 at 11:39 am

  3. 안녕하세요.
    항상 트위터와 블로그를 통해서 정말 좋은 정보, 소중히 감사하게 보고 있습니다.
    글을 쓰고, 정리한다는게 많은 시간이 소요 될 것인데 많은 사람을 위해서 지식을 전파해 주셔서 또 한번 감사합니다.
    항상 건강하십시요! ^^

    조현호

    2010년 2월 10일 at 10:58 pm

    • 그냥 워싱턴포스트 칼럼을 링크로 트윗하려다가 아까와서 조금 풀어쓴 글인데요. 이렇게 하면 저 자신도 생각을 정리하게 되어 좋은 것 같습니다.
      많은 분들의 멘션과 댓글을 받으면서 저도 놀랐고요. 어쨌든 제가 미국에 와서 느끼는 많은 생각들을 이렇게 실시간으로 고국에 있는 분들과 나눌 수 있다는 것이 즐겁네요.

      estima7

      2010년 2월 11일 at 11:41 am

  4. 감명깊게 읽었습니다. 큰회사와 스타트업, 작은 회사들이 동일한 조건에서 경쟁할 수 있어야 한다.라는 것에 공감합니다. 앞으로도 좋은 글 부탁드립니다.

    길군

    2010년 2월 10일 at 11:29 pm

    • 저도 에릭슈미트가 그 부분을 1번으로 올려서 사실은 좀 놀랐습니다. 그만큼 중요하다는 것이겠죠. 세계 최대기업중 하나의 CEO인데 이렇게 이야기한다는 자체가 참 인상적입니다.

      estima7

      2010년 2월 11일 at 11:42 am

  5. 와우… 트위터를 통해서 오게 되었어요.
    좋은말 정보 주셔서 감사합니다.

    권진희

    2010년 2월 10일 at 11:31 pm

    • ㅎㅎ 감사합니다. 트위터가 참 놀랍습니다.

      estima7

      2010년 2월 11일 at 11:43 am

  6. 역시 존성대명은 그냥 생기는 것이 아니군녀.

    특히 1번,2번은… 한국에선 절대 불가능이란거… ㅠㅜ;

    @JOMOSI

    2010년 2월 10일 at 11:37 pm

    • 절대 불가능은 아니죠. 혁신을 해서 성공한 기업들도 있고요. 우리부터 바꿔나가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ㅎㅎ

      estima7

      2010년 2월 11일 at 11:43 am

  7. 구글 리더로 구독하고 있는데, 처음으로 댓글 남기게 되네요. 알려주신 5가지 항목도 중요하지만 유학의 경험이 있는 저에게는 가장 마지막에 있는 다섯번재의 혁신촉진 방법이 가장 눈에 띄였고, 그 부분에서 가장 공감하고 있습니다. 예술쪽은 졸업하면 박사 과정을 밟지 않는 한 귀국을 해야 하니까요. 늘 좋은 정보의 포스팅에 감사합니다. 건강하세요.^^

    조효제

    2010년 2월 10일 at 11:53 pm

    • 5번째 항목. “똑똑한 인재가 미국에 남게하라”는 실리콘밸리 기업들이 항상 주장하는 것입니다. 전세계인이 살고 싶어하는 나라, 미국. 공부하러왔다가 안돌아가고 남아있도록 하는 나라, 미국. 그것이 이 나라 경쟁력의 원천이라는 생각을 항상 하고 있습니다.
      닥터 슈미트가 강연이나 토론회에서 이 부분을 강조하는 것을 몇번이나 들었습니다. 한국도 동남아시아 등의 불우하지만 똑똑한 인재들이 와서 자리를 잡을 수 있도록 지원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이제 한국사람들의 머리만으로는 안되는 시기 같아요. 더구나 이웃에 중국이 있는데…

      estima7

      2010년 2월 11일 at 11:47 am

      • 동감입니다. 혼자서 뭔가 다 할 수 있는 시대는 이미 끝났죠. 백짓장도 맛들면 낫다는 말이 정말 와닿는 세상이 되었습니다. 우리나라는 인재에 대한 대우가 너무 열악합니다. 공대생들이 귀한줄 알아야하는데 일용직 노동자 취급이나 해대고 말이죠.

        산적짱

        2011년 2월 9일 at 4:16 pm

  8. 매일 트윗에서 글을 보고 있습니다. 항상 좋은 소식과 글에 감사 드립니다.
    이글 또한 이곳저곳에 추천하고 있다는.. ^^

    컬러네임

    2010년 2월 11일 at 12:10 am

  9. 어떻게 보면(만일 한국이라면) 구글로 기득권자로 보일 수 있는데, 구글과 같은 영향력과 지위를 가진 기업의 CEO가 저런 마인드를 가지고 이를 공유한다는 것이 참 부럽습니다. 정말 이윤을 넘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기업이라는 개념을 새삼 느끼게 합니다.
    존경할 만한 Role Model을 가진 한국도 보고 싶네요.^^

    이정묵

    2010년 2월 11일 at 12:11 am

    • 자신의 기업, 업계의 이익을 떠나 국가를 생각하는 저런 CEO가 있다는 것은 참 부러운 일이죠. 일본만 해도 지난주에 손정의CEO를 보고 부러워했는데요. 곧 한국에도 이런 비전을 지닌 멋진 롤모델들이 많이 나오겠지요ㅎㅎ

      estima7

      2010년 2월 11일 at 11:48 am

  10. 첫번째 이야기. 장하준 교수님의 Bad Samaritans 가 생각나는군요. 미국에서, 저 위치의 기업의 CEO가 저 이야기를 한다는 것이 역시 대단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고영혁

    2010년 2월 11일 at 1:06 am

    • 창피하지만 그 책 사놓고 아직 읽지를 못했습니다. 읽어야겠네요. ㅎㅎ 리마인드시켜주셔서 감사!

      estima7

      2010년 2월 11일 at 11:49 am

  11. “혁신은 Unmeasurable하며 Unmeasurable한 것은 Unmanageable하므로 혁신을 manage하고자 자꾸 낡은 줄자를 들이댔다가는 그것의 진정한 가치를 못 알아보기 일쑤이다.” 얼마전에 어딘가에서 들은 이야기랑 일맥상통하는 것 같아 적어봅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김용호

    2010년 2월 11일 at 1:38 am

    • 좋은 말씀이네요. 감사합니다.ㅎㅎ

      estima7

      2010년 2월 11일 at 11:49 am

  12. Skywalker의 생각…

    에릭슈미트의 혁신 이야기 실패의 리스크에 대한 감내! 멋지다….

    mktarcadia's me2DAY

    2010년 2월 11일 at 1:39 am

  13. 나모의 생각…

    에릭 슈미트가 말하는 혁신, 제가 좋아하는 @estima7 님께서 친절히 워드프레스에 올려주셨군요….

    namojo's me2DAY

    2010년 2월 11일 at 1:50 am

  14. 좋은글 감사합니다.이런 사람들이 있어 미국이 세계를 주도하나 보네요. 임사장 같은분들이 분발하시면 우리도 희망이 있습니다.

    고영하

    2010년 2월 11일 at 2:25 am

    • 이번에 미국에 다시와서 살펴보니 참 훌륭한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많고 그런 사람들이 자신의 생각을 이렇게 적극적으로 공유하고 이야기해서 국가정책에까지 반영되도록 하더군요. 참 본받아야 할 일이란 생각을 많이 했습니다.

      그런데 저를 너무 과대평가하지 말아주세요. ㅎㅎ 감사합니다.

      estima7

      2010년 2월 11일 at 12:05 pm

  15. 미국 땅에서 외국인 신분으로 공부하고 있는 입장이다보니 슈미트의 다섯번째 조건 “we need to hang on to talented people” 이 가장 와닿는군요.
    이곳에서 교육받고, 이곳에서 학위를 따며, 이곳에서 오랜 생활을 했고 앞으로도 할 것이 분명하다보니 종종 “미국은 내가 남기를 바랄까? 나는 미국에 남고 싶은가?” 라는 자문을 하게됩니다.

    kkendd

    2010년 2월 11일 at 3:14 am

    • 미국은 당연히 이민으로 이뤄진 나라인데 님 같은 훌륭한 인재가 미국에 남기를 바라지 않을까요? (물론 비자부터 해서 영주권 얻기가 쉽지 않다고 들었지만) ㅎㅎ

      estima7

      2010년 2월 11일 at 12:09 pm

  16. 만박의 생각…

    구글 CEO 에릭 슈미트曰, “Show me a program with a 100 percent success rate, and I’ll show you one with 0 percent innovation.”…

    sumanpark's me2DAY

    2010년 2월 11일 at 3:35 am

    • 그 부분이 참 멋져서 일부러 영어원문을 덧붙여 넣었습니다ㅎㅎ

      estima7

      2010년 2월 11일 at 11:57 am

    • 완전 와닿는 말씀…. 요즘 고민하는 이슈에 대해 도움이 되고 잇어요…감사해요 estima님^^/

      myditto

      2010년 2월 13일 at 4:32 am

  17. snaiper의 생각…

    에릭슈미트의 혁신 이야기최근 회사의 혁신 이야기를 보다 보니 이 글이 다른 의미로 와 닫는듯 하다….

    snaiper's me2DAY

    2010년 2월 11일 at 7:41 am

    • 에릭슈미트는 기업보다 나라 전체를 위한 혁신환경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죠. 그러니까 의미가 다르게 읽힐 수 있겠네요ㅎㅎ

      estima7

      2010년 2월 11일 at 11:58 am

  18. 우리 사회가 실패에 대해 관대하지 못한 이유는? 여유가 없기 때문일까요, 욕심이 많기 때문일까요?
    뒷북이지만, 이 아침에 좋은 글로 하루를 시작할 수 있게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이준성

    2010년 2월 11일 at 5:20 pm

    • ㅎㅎ 둘 다겠죠. 감사합니다.

      estima7

      2010년 2월 11일 at 6:48 pm

  19. 매번 좋은 글 잘 읽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qny37

    2010년 2월 16일 at 11:36 pm

  20. […] 잡스, MS의 빌게이츠, SUN의 빌 조이, ORACLE의 래리 앨리슨, 그리고 구글의 에릭슈미트 등 비롯한 50년초반 태생의 컴퓨터업게 거물들, 세계적 갑부들의 출생시기, […]

  21. 블루라군의 생각…

    성공률이 100%인 프로젝트가 있다고? 거기에는 혁신이 0%일 것이다….

    lagooni's me2DAY

    2010년 2월 19일 at 1:35 am

  22. 저도 윗글에 많이 공감합니다.
    사실 읽던 중 가장 공감하는 부분은 정보 생산력이겠죠. 저도 미국에 와서 공부하면서 자료를 저장하고 정리하여 가공하는 능력은 미국이 다른 나라에 비해 경쟁력 있는 부분이라 생각되더군요.
    물론, 경쟁을 위한 여러 다른 요소간의 균형과 평등이 있어야겠지만, 정보력에 대한 평등 또한 미국인들이 다른 경쟁자들과 공유하고 이용한다는것이 정말 인상적인 부분이라 생각됩니다.
    저 조차도 내가 가지고 있는 정보를 다른 사람들에게 줄 때 이 정보를 주면 난 도퇴하지 않을까하는 걱정을 하지만, 미국에 와서 공부하면서 미국인들이 가지고 있는 share 문화는 정말 부러운 부분이었습니다. 심지어는 자신들과는 전혀 상관 없는 유학생들에게까지 정보 공개는 필수적이니 삼성과 같은 대기업이 쥐고 있는 정보를 다른 중소기업에게 주지도 못하고 오히려 다른 약자를 쥐어짜는 것으로만 사용하는 한국 기업들이 좀 한탄할 뿐입니다.
    좋은 글 잘 읽고 갑니다.

    넓은바다

    2010년 2월 22일 at 8:34 am

    • 감사합니다. 저도 미국와서 ‘정보공유의 파워’를 실감하고 있습니다. 그 어떤 나라도 이렇게 미국처럼 오픈되게 정보를 공유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이게 참 공유하는데도 시간과 노력, 돈이 들어가는데 말이죠. 어쨌든 저도 그래도 열심히 정보와 제 생각을 나누려고 노력하고 있고 그러면서 즐거움도 만끽하고 있습니다ㅎㅎ 감사합니다.

      estima7

      2010년 2월 22일 at 9:33 am

  23. 저는 정말 CEO나 임원은 정말 똑똑하고 비전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그런점에서 구글이 부럽네요 🙂
    우리나라 대기업에선 똑똑한 사람은 많지만 정말 똑똑한 사람 들은 그 틀을 견디지 못하고 나가버리는 것 같습니다. 물론 여러가지 복합적인 원인이 있겠지요;;
    요새 들어 슬럼프에 일에 대한 회의감만 들어서 이상한 생각만 하게 되네요 ^^;;
    글 잘보고 갑니다~~!!

    블루제리

    2010년 3월 12일 at 11:02 pm

  24. 인상깊은 좋은 글 잘 보고 갑니다. 본문스크랩 해도 괜찮으신지요. 메일로 답변 부탁드립니다.

    백인

    2010년 12월 21일 at 2:55 am

    • 그렇게 하세요.

      estima7

      2010년 12월 21일 at 7:20 am

  25. 좋은글 잘 읽었습니다.

    Park Sang Shin

    2011년 2월 9일 at 6:09 pm

  26. 글 잘 보았습니다.
    한국의 ‘갑.을.병.정’ 시스템(?), 정말 맘 아픈 현실이죠.
    어떤 경우에는 개별 개발자(프리랜서)가 ‘정’ 밑에 존재하는 경우도 있더군요.
    이런 플랫폼의 변화는 영원히 사라지기 어렵다고 보입니다.
    첫단추까지 다시 풀어야 하는 아픔이 있어야 하는데
    그럴 용기와 환경을 기득권은 원하지 않겠죠.

    han sang yong

    2011년 2월 9일 at 7:27 pm

  27. 이런 생각들이 우리나라 관료들에게도 잘 공급이 되어야할텐데…

    Crenche Bae

    2011년 2월 27일 at 4:34 am

  28. ‘혁신을 만들어주는 환경’이 정말 중요한 것 같습니다. 인도인 벤처 ‘범탑’ 사례로 보는 비즈니스 원칙 – http://www.etnews.com/201104050217 – 이란 글을 읽으면서.. 생각해 보았습니다. 이런 혁신업체가 생기면 우리나라에선 대기업도 비슷한 걸 만들어서 죽여버리는데 (사), 미국에선 더 혁신하려고 그 회사를 인수해서 더 크게 살리죠 (생). 생과사…
    이제는 한국의 우수한 인재들이 인도인들 처럼 미국에서 성공사례를 만들고, 이를 다시 한국에 전파시키거나 하면.. 어떨까 생각해 봅니다. 우리나라 인재들 정말 우수한데 영어나 Social Network이 없어서 그 능력을 발휘 못하는 경우가 너무 많은 것 같습니다.

    Elca Ryu (@elcaryu)

    2012년 2월 11일 at 2:29 pm

  29. 좀 지난 글이긴 합니다만 NFL 의 경제원리는 확실히 배우고 가네요 좋은 블로깅 감사합니다..

    rapael99

    2013년 2월 18일 at 6:07 am


댓글 남기기